네트워킹이란
서로 연결한다 는 뜻
서로간에 의사소통을 하는 환경
IT 자원 간 연결하여 통신하는 환경
네트워킹 요소
OSI 7계층 모델
- 1계층 - 물리 계층 : 네트워크 하드웨어 전송 기술을 이루는 계층. 물리적으로 연결된 매체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연결하고 유지하는 역할
- 2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물리계층에서 송수신 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제어
-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계층. 최적의 통신 경로를 찾음
- 4계층 - 전송 계층 : 종단의 대상간에 데이터 전송을 다루는 계층. 데이터 전송의 유효성과 효율성 보장
- 5계층 - 세션 계층 : 종단의 대상 간 응용 프로세스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데이터 통신을 위한 논리적인 연결 담당
- 6계층 - 표현 계층 : 데이터 형식에 차이가 있을 때 데이터를 서로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
- 7계층 - 응용 계층 :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연계하여 실제 응용 프로그램을 서비스하는 역할
IP 주소와 서브넷
IP 주소
IP 주소 : 인터넷상에서 IT 자원을 식별하는 고유한 주소
IPv4, IPv6 두 가지 버전 존재
퍼블릭 IP 주소와 프라이빗 IP 주소
- 퍼블릭 IP :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하려고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에서 제공하는 유일한 공인 IP
- 프라이빗 IP : 인터넷이 아닌 독립된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사용하려고 만든 네트워크 관리자가 제공하는 사설 IP
고정 IP 주소와 유동 IP 주소
- 고정 IP 주소 : 네트워크 관리자가 수동으로 할당하는 방식
- 유동 IP 주소 : 특정 서버가 IP 주소 범위에 따라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식 DHCP 프로토콜을 통해 주소를 제공하는 서버와 주소를 할당받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며 IP 주소를 임대하는 형태를 취함
서브넷과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 : 부분 네트워크를 의미. 다양한 서브넷이 연결되어 거대한 네트워크 환경을 이루고 있음
서브넷 마스크 : 부분 네트워크인 서브넷을 구분하고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동일한 서브넷이라면 IP 주소의 네트워크 ID 영역 값은 동일하고 호스트 ID 영역 값은 서로 다름
다른 서브넷이라면 IP 주소의 네트워크 ID 영역 값이 서로 다름
라우팅과 라우터
라우팅(routing) : 네트워킹 통신을 수행할 때 목적지 경로를 선택하는 작업. 이를 수행하는 장비 -> 라우터
TCP와 UDP
TCP
: 송수신 대상 간 연결을 맺고 데이터 전송 여부를 하나 씩 확인하며 전송하는 연결형 프로토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
연결을 맺고 확인하는 작업에 따라 신뢰성 높음 but 전송시간 느림
-> 속도보다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응용 서비스에 활용
UDP
송수신 대상 간 연결 없이 전달하는 비연결형 프로토콜
연결이나 제어를 위한 작업이 없어 신뢰성있는 전송을 보장할 수는 X but 빠른 데이터 전송 가능
데이터 유실에 큰 지장이 없고 빠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응용 서비스에 활용
포트 번호
TCP와 UDP를 사용하는 응용 서비스는 서로 구분할 수 있도록 포트번호 사용
- HTTP : 80
- DNS : 53
- SSH : 22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1) | 2025.05.17 |
---|---|
[클라우드] AWS 부하분산 서비스 (0) | 2025.05.17 |
[클라우드] AWS 네트워킹 서비스 (0) | 2025.03.27 |
[클라우드] AWS 컴퓨팅 서비스(EC2) (0) | 2025.03.18 |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초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