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개념
광대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가상화된 서버와 서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IT 환경을 의미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인터넷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음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
클라우드 환경의 장단점
장점
민첩성
클라우드를 통해 많은 기술에 빠르게 접근하여 이 전보다 빠르게 구현하고자 하는 것들을 구현할 수 있게 됨
탄력성
자원을 사전에 필요한만큼만 프로비저닝을 하여 더 큰 자원을 프로비저닝할 필요가 없게됨
또한 요구사항에 맞게 자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탄력적으로 자원을 운영할 수 있게됨
비용절감
클라우드를 통해 자본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여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자원들은 항시 유지해야할 때보다 더 적은 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게
확장성 및 유연성
물리적 인프라에 투자하지 않고도 비즈니스 수요에 맞게 리소스와 스토리지를 빠르게 확장할 수 있음
데이터 손실 방지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백업 및 재해 복구 기능을 제공함
로컬이 아닌 클라우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면 하드웨어 오작동, 악의적인 위협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나 간단한 사용자 오류 발생 시에도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됨
단점
인터넷 연결에 의존함
연결상태가 좋지 않을 시 필요한 정보나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하지 못할 수 있음
자연재해 또는 연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예기치 않은 기술적 문제로 인한 성능 저하로 인해 다운타임을 겪을 수 있음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클라우드 서비스 액세스가 차단될 수 있음
서비스 의존성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제공업체의 안정성과 성능에 따라 비즈니스 운영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제공업체의 서비스 중단이나 기술적 문제는 기업의 데이터 접근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는 업무 연속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따라서 서비스 수준 협약을 꼼꼼히 검토하고 백업 계획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
기술적 복잡성
클라우드 환경은 사용자가 설정하고 관리하기 어려운 복잡한 기술을 포함할 수 있음
ex) 멀티클라우드 전략을 사용하는 경우 여러 클라우드 플랫폼 간의 통합과 관리가 어려울 수 있음
이러한 복잡성은 내부 기술 인력의 부족이나 클라우드 관련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문제가 될 수 있음
데이터 전송 비용 및 속도
대규모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전송하거나 다운로드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와 대역폭 비용이 문제가 될수 있음
특히 고용량 파일을 자주 다루는 비즈니스에서는 이러한 요소를 신중히 고려해야함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데이터 전송 요금 구조와 네트워크 대역폭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환경의 차이점
온프레미스란?
컴퓨팅 자원을 기업 내부에 구축하여 소유한 자원을 이용하여 컴퓨팅 환경을 구성하는 것
반면에 클라우드 환경은 컴퓨팅 자원을 소유하지 않고 빌려서 사용함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
이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SaaS(Software as a Serviece, 소프트웨어 기반 서비스), Paas(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 기반 서비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 기반 서비스) 등이 있음
클라우드는 개념적인 측면에서의 인터넷을 통한 컴퓨팅 자원의 제공을 의미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를 기술적인 측면에서 구현하는 기술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 의미
- IaaS(Infra as a Service, 인프라 기반 서비스) : 서버,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등과 같은 컴퓨팅 리소스(IT 인프라)를 제공
- PaaS(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 기반 서비스) :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
- SaaS(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기반 서비스) :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 구매/설치하는 대신 인터넷을 통하여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
- FaaS(Function-as-a-Service, 기능 기반 서비스) : 개발자에게 서버를 관리할 필요 없이 이벤트에 대응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지원하는 추상화 기능 제공
- Caas(Containers-as-a-Service, 컨테이너 기반 서비스) : 컨테이너 기반 추상화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온프레미스 또는 클라우드에 배포할 수 있음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는 기술적인 방법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자원을 가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필요에 따라 이를 확장하거나 축소 가능
-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클라우드 공급자가 제공하는 인프라를 공유하기 때문에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 가능
-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 기업이나 조직 내에서 구축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인터넷을 이용한 접근이 아닌 내부망을 통해 접속하며 기업이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 비교적 높은 보안성과 특정한 요구사항에 맞춤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결합한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간의 데이터 연계를 통해 비즈니스 유연성을 높일 수 있음. 기업의 요구사항에 따라 각각의 클라우드 환경에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 : 둘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비즈니스에 통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말함.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를 혼합하여 최적의 비즈니스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함
AWS의 보안서비스 종류
대표적으로 EC2, S3, IAM, VPC, RDS 등이 있다.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AWS 컴퓨팅 서비스(EC2) (0) | 2025.03.18 |
---|